본문 바로가기
개발

(1) 독학으로 앱 만들어보기 (인터넷 검색, 공부 방법, 코틀린)

by 라이프_디자이너 2021. 9. 28.
반응형

독학으로 앱 만들기 시작

 

저는 평소에 아이디어가 넘치는 사람이고, 아이디어를 구현해내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중에서 건강 관련하여 만들어보고 싶은 어플이 있어서 공부를 해보려고 합니다. 6년? 전에 앱 개발 경험이 있으나 너무 오래돼서 기술도 많이 바뀌어서 새롭게 시작하려고 합니다. 독학이란 게 시작해보려고 하면 말이 독학이지 결국 남들이 인터넷 어딘가에 공유해준 글을 보며 공부를 해야 합니다. 그 과정에서 어떻게 검색해야 하는지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만날 확률이 많이 달라집니다. 저는 그런 시행착오까지 전부 담아서 이 글에 써보고자 합니다. 인터넷에 무슨 키워드로 검색하는지 공부할 때 어느 자료를 봤는지 등 제가 독학하는 과정 그대로 담아보겠습니다. 앱을 처음 만들어보시는 분들이나 저처럼 다시 공부를 해보려는 분들께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2023.05.16 - [개발] - (완성) 독학으로 앱 만들어보기 (요약 정리)

 

(완성) 독학으로 앱 만들어보기 (요약 정리)

앱을 완성했다. 만드는데 1년 7개월 18일(596일) 걸렸다.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왜 이런 시간이 걸렸는지에 대한 완성 과정을 요약 정리한 글이다. 앱을 개발하고자 한다면, 이 글을 읽음으로 많은

dev-nasus.tistory.com

 

반응형

앱 만들기 검색

 

우선 모든 독학의 기본은 검색이죠! 구글에 "앱 만들기"를 검색해보겠습니다.

 


쭉 스크롤 내려보다 보니, "비전공자의 안드로이드 어플 만들기 프로젝트 (앱 개발 후기)" 이런 글이 눈에 들어와서 해당 글을 읽어보면서 감을 잡아보겠습니다.

 

https://l2ct.tistory.com/2

 

비전공자의 안드로이드 어플 만들기 프로젝트 (앱 개발 후기)

나는 프로그래밍과는 전혀 무관한 학과를 나온 코딩 비전공자다. 그렇지만, 대학생 때부터 어플 만들기에 대한 로망 같은게 있었고 이것저것 공부해보면서 최근에 안드로이드 앱을 2개 제작했

l2ct.tistory.com

 




글을 다 읽어보니, 정말 말 그대로 비공전자가 느낀 점 들이 정리가 되어 있었고 안드로이드 앱은 자바나 코틀린 둘 중 하나를 배우면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자바나 코틀린 둘 중 하나를 배우면 된다는데 이것들이 무엇인지 감이 잘 안 오니까 자바, 코틀린에 대해 알아봐야겠습니다. 마침 해당 블로그에 같이 읽으면 좋은 글로 어떤 언어를 배워야 할까?라는 글이 있어서 해당 글도 읽어 보겠습니다.

 

아, UI/UX 갖추는데 60%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데 저것들은 어플 기획과 디자인에 관련된 부분으로 나중에 더 알아봐야겠습니다. 우선은 자바, 코틀린에 대해 보겠습니다.

 

https://l2ct.tistory.com/3

 

안드로이드 어플 만들기, 어떤 언어를 배워야 할까?

나는 대학생 때, 프로그래밍에 대한 로망이 있었기 때문에 방학 때 혼자 책을 사서 자바를 공부했던적이 있었다. 안드로이드 어플을 만드는 프로그램인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자바(JAVA)와 코틀

l2ct.tistory.com


글을 읽어 보니, 결론은 코틀린을 추천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위의 글 작성자님께서 적어놓은 이유가 합당하다고 판단이 되어 저도 코틀린으로 개발해봐야겠습니다. 그럼 이제 코틀린은 어떻게 공부하는지에 대해 알아봐야겠습니다. 이번 글처럼 어떻게 검색해서 어떤 글을 봤고 어디서 어떻게 어떤 생각으로 결정을 내리는지에 대해 다음 글에서도 같은 형식으로 글을 작성해보겠습니다. 다음 글의 이어지는 주제는 코틀린으로 어플 개발하기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09.28 - [개발] - (2) 독학으로 앱 만들어보기 (코틀린 공부)

 

(2) 독학으로 앱 만들어보기 (코틀린 공부)

독학으로 앱 만들기 (코틀린 편) 독학으로 앱 만들기를 결심하고 글을 작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처음 작성한 글은 어플 개발하려면 어떤 걸 공부해야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검색 과정과 공부해야

dev-nasus.tistory.com

 

반응형

댓글